News

  • News

  • News

News

게시물 상세
[수주/준공] 남양 우도 인도교 BIM 시공
작성자 : 르보이엔지(rboeng@rbo.co.kr)  
작성일 : 2022-07-30   조회수 : 196
첨부파일 남양 인도교_썸네일.png


 

 

남양 우도 인도교 BIM 시공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우도길에 위치한 우도 인도길을 BIM으로 시공한 사례입니다.

2021년 8월 기준의 도면으로 작업 진행하였습니다.

총 16개월의 공사기간과 특수 복합 소재 사용으로 염해에 강하고 경량이 특징인 인도교입니다.

주경간교량과 접속교의 연결로 독특한 교량의 모습입니다.

 

 

[주경간교량]

 

주경간교량은 원형강판을 상하로 접합하여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휨강성 증대와

내부보강재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효율적인 부재활용으로 구조안전성을 향상시킨 공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주경간교량의 장점은 거더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과 비교해 효율적 활용이 큽니다.

또한 단부를 제외한 내부 용점이 없어 육안확인이 가능해 품질 신뢰성 확보가 뛰어납니다. 

그리고 상부에 비부식 고내구성 복합소재 테크 슬래브를 설치하여 내구수명 증대 효과가 있습니다.

단점은 경험이 많은 전문 기술자가 필요합니다.

 

 

[접속교]

 

접속교는 복합소재 박스형 적자거더와 슬래브를 일체화하여 휨, 뒤틀림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중공슬래브에 채움재를 충진하여 처짐 및 진동을 저감한 공법입니다.

 

접속교의 장점은 복합소재 중공슬래브에 채움재를 충진하여 처짐 및 진동을 저감한 공법입니다. 

격자 박스형 거더와 슬래브를 일체화하여 휨, 뒤틀림 저항력을 향상 시키며 

슬래브 상부면에 일체화된 미끄럼방지 시설로 사용자 안전성을 확보하였습니다.

단점은 현장 접합시 일기의 영향을 받습니다.

 

[주경간교량과 접속교량 모델링]

 

주경간교량과 접속교량의 단면, 3D 모델링 모습입니다.

 

[주경간교향과 접속교의 3D 모델링]

교량의 소재 구성, 3D 모델링 모습입니다. 한눈에 소재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M을 활용해 기존 2D도면에서 발견하지 못한 디테일한 오류를 빠르게 발견하여 정확하고 확실한 준공을 돕습니다.

 

 

https://youtu.be/D8g98UN13Tg

 

※본 콘텐츠는 르보이엔지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이전글 [공지] 르보이엔지 3D BIM 특허 등록
다음글 [공지] 르보이엔지 3D 측량기술 특허 등록